오늘은 매직아이를 만들어봤습니다. ※ 주의사항 - 폰보다 컴퓨터 모니터로 더 잘 보임. - 너무 많이 하면 눈 피곤함. - 파란색 글은 보는 방법 참고이므로 넘어가도 됨.
< 매직아이 - 나무위키 >
그냥 보면 노이즈로 밖에 보이지 않는다. 하지만 눈의 초점을 적절하게 맞추면 입체 영상을 볼 수 있다. 맨눈보기[2]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.
평행법: 그림보다 먼 곳(뒤쪽)에 눈의 초점을 맞춘다. 두 눈 사이의 거리보다 넓게 벌어져있는 그림은 입체로 볼 수가 없다.
교차법: 그림과 눈 사이(앞쪽)에 눈의 초점을 맞춘다. 이렇게 하면 두 눈은 당연히 사팔뜨기가 된다. 양 눈의 시선을 교차하기 때문에 교차법이라고 한다. 아무리 넓게 벌어져 있는 그림이라도 입체로 볼 수가 있다. 두 눈을 사팔뜨기로 모으는 것만으로는 도저히 감당이 안 될법한 큰 그림이라도, 뒤로 물러서서 시야에 들어오게만 한다면 입체로 보는 것이 가능하다. (굳이 그림이 아니라도 저 멀리 보이는 전봇대 두 개를 겹쳐서 본다든가)
똑같은 그림이라면 평행법과 교차법으로 봤을 때의 입체감이 반대가 된다. 즉, 평행법으로 보면 튀어나오는 부분이 교차법으로 보면 쑥 들어가 보이게 된다는 것. 그렇기 때문에 입체감의 방향이 중요한 그림은 평행법과 교차법 둘 중 하나를 쓰도록 명시하는 경우가 있다.
사람에 따라 잘 보이고 안 보이는 사람이 따로 있는 듯. 입체 영상을 만드는 것은 간단하지만 보는데 노력이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.
정 안 되면 두 눈 양쪽 끝을 손가락으로 꽉 눌러 눈의 초점을 강제로 모이게 한 뒤 손가락을 서서히 떼어도 보인다.
매직아이 글, 그림.
매직아이를 많이 하다보니 눈이 피로하여 든 생각입니다. 마이크로소프트 Bing의 도움을 받아 하고 싶은 말을 점자로 그렸습니다.
이전 그림 노트보다 크기가 커졌기에 그림 크기에도 변화가 있습니다. 스케일이 커졌으니 디테일과 시간을 더 투자하여 대작을 만들어보려는 욕심이 너무 커져서 욕심을 버리기로 했습니다.
외각과 내각의 크기의 합이 한 치의 오차 없이, 선의 1mm 길이 틀림 없이 완벽하게 그려보려니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립니다. 노트는 달라졌지만 마음가짐은 그대로입니다. - 스케일과 디테일, 시간에 신경을 쓰자. - 상상하는, 그리는 재미가 중요하다. - 내가 재미없으면 과정도, 결과도 재밌을 수 없다. - 망하면 망했다.
오늘 그림 123일?
저는 극단적인 완벽주의는 아니지만 완벽하기 위해 노력은 합니다. 오늘도 감사합니다. 편안한 하루 보내셨길 바랍니다~*